주한 러시아연방 대사관

알렉산더 띠모닌 공사 부대사

한국 외국어대학교 강의

 

(20070326)

 

러한 학자의 양국 역사에 대한 견해 차이 극복의 중요성에 대하여

존경하는 여러분!

러시아의 언어, 문화, 역사, 정치와 경제를 연구한는 교수, 연구원 학생들 앞에서 강의를 있도록 초청해 주신 한국외국어대학교 지도부에 감사의 마음을 표합니다.

러시아의 대아시아 정책에 있어 대한민국과의 협력을 모든 분야에서 강화하는 것은 우선 순위를 차지합니다. 러시아와 한국의 관계는 깊은 역사적 뿔이를 갖고 있습니다. 19세기부터 민족의 운명은 긴밀하게 연관되어 있었습다. 양국 국민은 극심한 사회 혼란, 기아, 빈곤, 유혈전쟁 많은 닮은꼴의 시련을겪었고, 사실상 시련이 가시지 않은 상태에서 삶을 다시 일궈야 했습니다. 지리적 조건과 역사적 상황으로 인하여 우리 두 나라는 수많은 공동의 문제들을 함께 풀어나가야만 합니다. 현재는 대한민국과 러시아의 관계는 자신 있게 상호신뢰하는 포괄적 동반자관계로 격상되고 있습니다. 과정의 결과 중에서 특히 중요한 것은 양측 상호 적용이 높은 수준에 도달할수록 우리가 견해 차이가 있는 문제를 포함하여 우리 협조 과정에서 일어나는 모든 쟁점을 더욱더 솔직하고 신뢰성이 있게 논의할 있게 것이라고 봅니다.

저는 개인적으로 외교활동 외에 30 이상 한국역사를 연구해 왔는데 오늘 강의에서 러시아의 한국학 학자와 한국의 러시아학 학자의 관심을 이끄는 매우 중요한 문제에 대하여 말씀을 드리고자 합니다. 것은 바로 러시아와 한국 역사, 그리고 러한 관계 역사 일부 사건에 대한 양국 학계 사관에 있어 아직 남아 있는 차이입니다.��

문제는 순수한 학문적 토론의 한계를 넘었고 러한 양국에서 서러 객관적이고 호의적인 이미지가 형성하는데 방해가 된다고 봅니다.

특히 2004 2 인천에서 러시아 순양함 바략 (�����) 호의 영웅적 항거 100 주년 추모행사와 러시아 전사자 추모비 계막식에 대한 남한 국민들의 복잡한 대응을 보면서 문제가 얼마나 심각한지 자기 눈으로 확인하게 되었다. 중요한 행사는 러한 관계의 높은 수준을 과시했을 아니라 대한민국 지도부와 관계자들이 러시아 전통을 존경하고 자국을 위해 삶을 희생한 전사들의 추모의 중요성을 이해함을 보여주었습니다. 이러한 태도는 한민족에 있어서도 대표적인 특성입니다. 그러나 동시에 러시아 선원 추모비 설립을 반대하는 시위도 버려졌고 일부 한국 신문에는 20세기 초의 러시아 극동지역 정책을 비판하는 기사도 나왔습니다. 사실은 백년 전에 외국 학자들이 강요한 러시아 위협론 한국 사회에 얼마나 깊이 남아 있는지 보여주었습니다. �러시아 위협론 따르면 러시아는 한반도에 대한 가장 침략직인 계획을 가진 국가이었습니다. 과거에 일부 일본과 미국 정치가들이 한반도에 대한 자국 정책을 정당화하기 위하여 학설을 적극적으로 활용하던 것은 주목할 만하다고 봅니다.

한국과 구소련이 오랫동안 교류가 없어 대한민국 학자들은 일본과 미국 출판물에 의존해야만 했습니다. 따라서 남한에서 구소련의 정책 역사에 대한 관측도 일면적이었고 주로 부정적일 밖에 없었다. 1990 러한 수교 전에 이러한 연구 분위기는 남한 국민 중에서 러시아의 부정적 이미지를 형성하게 했습니다. 1990 후에는 러시아와 한국 상호 정치와 역사 연구 조건은 향상하기 시작하였습니다. 러한 학자들이 자유럽게 만나고 다양한 논쟁점을 논의하고, 양국 도서관 기록 보관서에 일을 하면서 우리 양국 공동 역사에 있어서 새로운 문제를 제기할 기회를 얻었습니다. 최근 16 동안 러시아와 한국의 역사, 그리고 러한관계사의 많은 사건과 사실에 대한 훨씬 정확하고 객관적이고, 그리고 사상해제된 정보를 제공하는 적지 않은 저서와 논문이 출판되었습니다. 우리 나라에서 서로 이해하는데 중요한 기여를 하는 역사학, 정치학, 경제학, 언어학 문학 분야에서 새로운 훌륭한 전문가의 세대가 탄생하게 되었습니다. 오늘 강의실에도 세대를 대표하는 많은 학자들이 있습니다. 기회를 이용하여 <span lang=KO sty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