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핵
문제 이제 첫걸음 열매 맺어"
[엠버시&앰배서더] 주한
러시아 대사 알렉산드로비치
이바셴초프씨
"한반도 비핵화 가장 중요한것은
신뢰�80억달러 北부채 재투자로
탕감 추진"
|
�19일 베이징에서
열리는 제6차 6자회담의 전망은 좋습니다. 그러나
섣부른 과잉 기대는 말아야
합니다. 이제껏 북한 문제는
시간이 많이 걸렸거든요.�
주한 러시아 대사관에서
만난 글렙 알렉산드로비치
이바셴초프(62) 러시아 대사는 6자회담에
대해 낙관하면서도 신중함을
잃지 않았다.
이바셴초프 대사는 �이번
회담은 6자회담의 두 가지
기본 합의문인 9ㆍ19 합의와 2ㆍ13합의의
이행 방안에 대해 중점적으로
다룰 것�이라며 �우호적인
분위기에서 논의가 진행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그는 또 한반도에서 완전한
비핵화가 실현되기까지
꽤 긴 시간이 필요할 것이라고
전제한 뒤, �아무리 긴 여정도
한 걸음부터 시작하듯이, 북한
핵문제는 지금 그 첫 걸음이
마무리되고 있다�고 평가했다. 특히
그는 1963년 미국과 소련, 영국이 맺은
최초의 핵실험금지 국제조약인
부분적 핵실험 금지조약(PTBT)을 예로
들며 �북핵 문제도 첫걸음이
그 열매를 맺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당시 학생이었던 이바셴초프
대사는 �누구도 조약이 체결될
것이라고 기대하지 않았다�고
회고하면서 �경험에 비춰볼
때 한반도 안보를 위해 가장
중요한 것은 신뢰 구축 조치�라고
말했다.
�러시아가 대미 관계에서
신뢰 구축을 위한 다양한
조치를 이끌어냄으로써
발전된 양자관계로 발전했습니다. 마찬가지로
한반도 평화를 위해서는
한반도 및 동북아의 신뢰구축
조치가 효과적일 것이라고
봅니다.�
그런 면에서 2003년 8월부터 북핵
문제 해결을 위해 시작된 6자회담이
결국 동북아의 핵 비확산
체제나 안보협력 체제의
초석이 될 것이라고 그는
전망했다.
그는 �6자회담의 목표 중 하나는
동북아에서 안보협력체제를
구축하는 것�이라며 �북한이든
남한이든 일본, 중국이든 역내에
있는 나라라면 이 안보협력체제에
의해 국가안보를 보장받을
것�이라고 말했다. 또 6자회담이
성공적으로 끝나면 세계적인
핵 비확산 체제를 강화시키는
계기로 이어질 것이라고
내다봤다.
이바셴초프 대사는 러시아가
이전 회담에서 약속한 대북
에너지 지원 방안에 대해
�러시아의 대북 지원은 2ㆍ13합의에서
나온 대로 다른 참가국과
공평하게 이루어질 것�이라며
�지원 방식은 국가마다 달라
중유에 한정되지는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예컨대
석탄이나 가스, 전력으로 지원하는
방안도 가능하다는 것이다. 그러나
�구체적인 지원방식은 한국
대표가 의장을 맡고 있는
에너지 실무그룹회의에서
결정될 것�이라고 말을 아꼈다.
23일 열리는 북러경제공동위원회
회의와 관련, 이바셴초프
대사는 �러시아는 80억 달러에
달하는 북한의 대 러시아
부채 탕감 문제를 논의할
것�이라고 밝혔으나 구체적인
탕감 방식에 관해서는 언급하지
않았다.
다만 �부채가 공동 투자
자금으로 활용되기도 한다�는
그의 말대로, 구 소련 국가들에서처럼
북한의 자원 개발이나 공장
가동 등에 재투자하는 방식으로
빚을 탕감하는 방안을 배제하지
않았다. �우리는 경제협력
촉진을 위해 빚의 활용을
선호합니다. 인도에서 러시아는
빚을 받아 그 일부를 인도의
조인트벤처에 재투자하고
있습니다.�
일단 북한의 부채문제가
해결되면, 시베리아 철도와
남북한 철도 연결과 같은
남북한, 러시아가 함께 참여하는
큰 프로젝트 추진에도 큰
진전이 있을 것이라고 그는
전망했다.
인터뷰가 끝날 무렵 그는
�경제가 하부구조이고 정치가
상부구조�라는 칼 마르크스의
유명한 말을 인용하며 남북한
경제협력이 장기적으로
정치협력에도 도움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윤원섭 코리아타임스 기자
[email protected]